250x250
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꼬막
- 부대찌게
- 과밀부담금
- 조정대상지역
- 남항진
- 강릉중앙시장
- 투기과열지구
- 1000원 반찬
- 남양주
- 남항진맛집
- 도시락
- Namyangju
- 김치찌게
- 동그랑땡
- 부추전
- 대지급금
- 치킨
- 수지분석
- 담보신탁
- 조정지역
- 콩나물두부찜
- 경매
- 돈까스
- 세자매
- 이마트24
- 전세사기
- 열차취소
- 재산세
- 돈까스 donkkaseu Pork Cutlet トンカツ
- 강릉
Archives
- Today
- Total
ordinarylife
방어기제 본문
728x90
반응형
방어기제 防禦機制 / Defense Mechanism / Abwehrmechanismus
마음의 평정을 깨트리는 사건들이 내적 혹은 외적으로 발생할 때, 발생한 불안감은 초자아를 위협하게 되며, 이때 자아가 불안을 처리하고 마음의 평정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방어기제이다.
<종류>
1단계 : 병리적인 방어기제 [부정 / 분리 / 기타 병리적인 방어기제]
2단계 : 미성숙한 방어기제 [투사 / 투사적 동일화 / 해리 / 환상 / 기타 미성숙한 방어기제]
3단계 : 신경증적 방어기제 [합리화 / 반동 형성 / 억압 / 퇴행 / 취소 / 전위(치환; 전치) / 주지화 / 기타 신경증적 방어기제]
4단계 : 성숙한 방어기제 [동일시 / 승화 / 기타 성숙하다고 정의하는 방어기제]
5단계 : 기타 방어기제 [보상]
마음의 평정을 깨트리는 사건들이 내적 혹은 외적으로 발생할 때, 발생한 불안감은 초자아를 위협하게 되며, 이때 자아가 불안을 처리하고 마음의 평정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방어기제이다. 하지만 방어기제가 초자아의 이상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아가 초자아와 원초아의 요구를 타협시키는 것이 방어기제이다.
방어기제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 중 하나는 방어기제가 의지가 부족한 나약한 사람들이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겁한 것으로, 인간의 내적 성숙에 방해되는 것이라는 해석이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막대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천천히 상처에서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건강한 방식이다. 만일 스트레스 상황을 방어기제라는 완충제 없이 정면으로 직면한다면 그 피해는 막대할 것이다. 관건은 사회적으로 용납 가능한 방어기제를 선택하는 것이다.
안나 프로이트는 아버지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대략 열 가지 방어기제들을 발견하여 정리했고, 21세기에 통용되는 방어기제의 종류는 비단 열 가지 이상으로 숱하게 늘어난다. 방어기제 이론은 정신분석학이 심리학에서 받아들여진 몇 안되는 예이다.
2. 베일런트의 분류
[종류]
1단계 병리적인 방어기제(pathological defense mechanism).
3.1.1. 부정: Verleugnung / Denial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외부의 실재나 사건을 아예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것. 외부의 자극을 부정하는 것이다. 억압과 함께 가장 원시적이고 질 낮은 메커니즘으로 일컬어지며, 주로 어린이나 정신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ex) 사랑하는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 사람들이 자신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으며 그이는 어딘가에서 분명 살아있으리라고 굳게 믿는 경우.
3.1.2. 분리[편집]
Splitting
자기와 남들의 이미지, 자기와 남들에 대한 태도를 '전적으로 좋은 것'과 '전적으로 나쁜 것' 이라는 두 개의 상반된 것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흑백논리로도 대표될 수 있다. 유아기 중 분리-개별화기[5]에 쓰는 방어기제이다. 경계선 인격장애의 방어기제이기도 하다. 이런 경우 복합적이고 애매한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할 수 있다.
-
환자는 의사가 환자에게 좋은 말을 해줄 때에는 "당신은 나를 이해하는 유일한 사람이에요"라고 하지만 A 환자의 나쁜 행동에 대해 언급할 때 "당신은 의사라는 권력을 이용하는 폭군이에요"라고 말하는 경우.
3.1.3. 기타 병리적인 방어기제[편집]
-
Conversion(전환): 자신의 내면에 있는 갈등을 신체적으로 나타내는 것. Ex) 마비, 경련, 일시적 맹목 등
-
Distortion(왜곡): 현실을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것.
2단계 : 미성숙한 방어기제(immature defense mechanism).
3.2.1. 투사[편집]
Projektion / Projection. 자신의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타인에게 있다고 가정하는 것. 주로 과민, 분노, 공격성, 편견, 질투 등 부정적인 모습들로부터 야기되는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그러한 것들이 타인에게 있다는 식으로 투사한다.
ex)
-
-
-
3.2.1.1. 투사적 동일화[6][편집]
Projektive Identifikation / Projective identification
투사적 동일화는 원시적 방어기제중 하나로, 다음의 세 가지를 거친다.
-
환자는 분석가에게 내적 이미지를 투사한다.
-
분석가는 환자가 투사한 것을 비의식적으로 받아들여 동일화하고 환자의 조종을 받아 느끼고 행동하게 된다. 즉, 환자가 분석가에게 투사한 어떤 사람의 역할을 분석가가 하게 된다.
-
투사된 내용들은 분석가에 의해서 수정된 다음에 다시 환자에게 재투입된다. 환자는 자기가 투사한 내적 이미지가 분석가의 인격을 통과하면서 수정된 것을 동일화하여 자신의 내적인 대상을 수정한다.
이는 이론으로 배우기에는 매우 어려운 방어기제이므로 다른 예시를 들어 이해하는 것이 빠르다. 머릿속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그려가면서 이해하는 게 좋을 수 있다.
-
B 환자의 어머니는 매우 시간을 엄수하는 사람이였다. 어머니는 B가 납치를 당할거라는 강박관념에 시달려서 B에게 항상 시간을 엄수하라고 하였다. 그래서 B가 집에 단 1분이라도 늦게 들어오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혼이 났다. B 환자가 C라는 치료자를 만나게 되는데, B는 C에게 C가 예약시간에 정확히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C선생님께서는 몇 초 지각하셨네요. 정말 기분이 나빠요." 라고 말을 하였다.[7] C는 B의 말을 내면화 하고 B의 말을 재해석하여 B의 전이와는 다르게 B가 C의 지각으로 인해 B의 진료비가 손해본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그리고 어느날 B가 지각을 했는데 C가 "지각을 하셨네요, 지각한 시간도 진료시간에 포함됩니다." 라고 말을 했다. 그래서 B는 C의 말로 인해 자신의 내적인 대상을 C를 통해 수정하여 '시간을 엄수하지 않으면 나는 납치를 당할 것이고, 또한 그로 인해 나와 나와 관련된 사람들은 물질적 손해를 입게 된다' 라고 생각한다.
투사적 동일화를 정신문제나 성격문제의 원인 중 하나로 간주해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대상관계이론에선 투사적 동일화를 4가지 종류로 구분하는데, 다음과 같다.
-
의존형 투사적 동일화(의존형 투사적 동일시)
-
힘의 투사적 동일화(힘의 투사적 동일시)
-
상대를 자기 마음대로 조종하려드는 면모가 강하고, 대인관계에서 자신이 주도권을 얻는 것에 집착한다.
-
상대가 자기 뜻대로 따라오는 것이 올바른 대인관계양상이라 생각하며, 자기 뜻을 따르지 않는 대상을 비난하고 무능력한 존재로 치부하며 그들이 무능감을 느끼게 만든다.
-
대인관계 내에서 투사대상자가 자기에게 복종적이 될 수밖에 없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
상담과정에선 오히려 자기가 상담자를 휘두르려드는 경향을 많이 나타낸다.[12]
-
본인이 무능할지라도 본인의 무능함을 지적받으면 분노한다.
-
성의 투사적 동일화(성의 투사적 동일시)
-
환심 사기의 투사적 동일화(환심 사기의 투사적 동일시)
-
-
-
-
-
인간불신이 심한 만큼 자기존중감이나 자존감도 낮아서, 언제나 외부에 자기 가치를 증명받으러 애쓰는 경향이 강하다.
투사적 동일화가 강한 사람은 어떤 식으로든 상대로 하여금 특정 행동이나 특정 태도를 유도하기에, 오래 그들과 어울리는 사람들일수록 그들과의 관계유지에서 피곤함, 짜증 등을 느끼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이 관계파탄으로 자주 이어진다.
3.2.2. 해리[22][편집]
Dissociation. 분열이라고도 불리며,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자신의 성격의 일부가 본인의 지배를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 것으로, '지킬 박사와 하이드', '이브의 세 얼굴' 등의 예시가 있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 참조.
3.2.3. 환상[편집]
Fantasy
상상 속에서 성취를 경험함으로써 좌절된 욕망을 충족하는 것을 말한다. 상상 속에서의 성취는 대개 자아도취적이고 전능적이다.
-
3.2.4. 기타 미성숙한 방어기제[편집]
-
Passive aggression(수동 공격성): 잘 드러나지 않은 방법으로 상대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것. Ex) 본인 스스로에게 도발적인 방법으로 화 풀기.
-
Acting out(행동화): 행동을 통해서 자신의 화를 표현하는 것.
3단계: 신경증적 방어기제(neurotic defense mechanism).
3.3.1. 합리화[편집]
Rationalisierung / Rationalization.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발현되었을 때 초자아가 반발하지 않도록 그럴싸하게 무마하려는 것. 원초아의 파괴적인 충동에 순간적으로 압도당하면 곧바로 초자아의 폭풍태클이 들어오고 이는 극심한 불안과 심적 고통을 초래한다. 여기서 자아는 초자아가 난리치는 것을 막기 위해 원초아의 충동으로 인해 발현된 사태를 어떻게든 해명해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된다. 심하지 않으면 합리화 또한 위기해결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에서 자기합리화라고 하면 이보다는 self-justification의 의미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3.3.2. 반동 형성[편집]
Reaktionsbildung / Reaction Formation.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표출되지 못하도록 정반대 형태의 충동을 형성하는 것. 소위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는 속담을 연상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정반대의 충동이 표출되면 어딘가 부자연스럽고 어색해 보인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5세 이전의 남자 어린이가 아버지에 대한 살해욕망을 아버지의 가치체계의 내면화라는 결과로 바꿔놓는 이유가 바로 이 반동 형성이며,[23] 이것은 일생 최초의 메커니즘으로서 초자아 생성의 배후에 존재한다. 특히 강박장애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ex)
-
-
자신의 잠재적 성 소수자 성향을 의식적 혹은 잠재의식적으로 느끼고 있지만, 그것을 거부하면서 생기는 부정적 감정을 같은 부류인 동성애자들에게 쏟아 부으며 자신의 성적 취향을 숨기는 경우.
-
-
만화같은 취미생활을 동경하지만 주변의 시선이나 학업에 대한 강박관념 때문에 해당 취미를 가진 타인을 “시간낭비”라며 무시하는 경우
3.3.3. 억압[편집]
Verdrängung / Repression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의 존재 자체를 거부하여 의식 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무의식적으로 막는 것. 쉽게 말하면 욕망을 잊으려 하는 것이다. 이 역시 가장 유명한 메커니즘 중 하나이며, 가장 원시적인 메커니즘 수준에 속하기도 하고, 프로이트가 가장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주제이기도 하다. 무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억압의 존재는 현대 심리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회의적이지만[24], 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사고 억제(thought suppression)의 경우는 실제로 현대 심리학에서 꽤나 흥미로운 연구거리가 되었다.[25]
3.3.4. 퇴행[편집]
Regression
불안 상황에 처했을 때에 이전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로 돌아가려 하는 반응이다.
ex)어린아이가 새로 태어난 동생에게 관심이 쏟아지자 그 관심을 자신에게 돌리기 위해 아기처럼 행동하는 경우.
3.3.5. 취소[편집]
Ungeschehenmachen[26] / Undoing
초자아의 비난을 불러일으키는 자신의 행위에 대해 상징적 방법을 동원해 취소하려는 것. 초자아의 비난이 가져오는 죄책감은 곧 원초아와의 심적 균형을 깨뜨려 불안을 가져오게 되고, 자아는 이 죄책감을 해소하기 위한 속죄 이벤트(?)를 기획하게 된다. 취소는 자신의 과거 행위에 대해서만 발동하지만, 상상의 행위에 대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 역시 강박장애(OCD)의 환자에게서 자주 보여지게 된다.
ex) 가까운 친구를 칼로 찌르는 꿈을 꾸고 일어난 뒤 그 친구에게 공연히 선물을 사 주는 경우.
3.3.6. 전위(치환; 전치)[편집]
3.3.7. 주지화[편집]
3.3.8. 기타 신경증적 방어기제[편집]
-
Upward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s(사회적 상하비교): 자신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대상과 자신을 비교하고 스스로를 그들과 차별화함으로써 자신을 높이려고 하는 것.
4단계: 성숙한 방어기제(mature defense mechanism).
3.4.1. 동일시[편집]
Identifikation / Identification. 중요한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자기 것으로 만들면서 닮는 것을 말한다. 동일시되는 대상도 완벽한 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무조건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
-
-
히틀러 유겐트(Hitler-Jugend)들이 히틀러의 힘을 동경하게 되어 나치 군대의 잔인성을 닮아가는 경우.
-
3.4.2. 승화[편집]
3.4.3. 기타 성숙하다고 정의하는 방어기제[편집]
-
-
-
Suppression(억제)
욕망을 잠시 미뤄 두고 나중에 다시 찾도록 하는 것. 나중에 받아 들일 수 있는 상황이 왔을 때 다시 받아 들여서 해소시킴.
-
Patience(인내)
불쾌한 상황에서 바로 반응하지 않고 기간을 두고 시간을 가져 보는 것. 억제와 유사.
-
Acceptance(수용)
상황을 직시하고 현실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
-
Tolerance(용인)
인정하기 싫은 감정/상황을 의도적으로 받아 들이고 허가하는 것.
-
Anticipation(예측)
미래에 있을 불편함이나 갈등을 미리 내다 보고 현실적으로 준비하는 것.
-
-
Emotional self-sufficiency(감정적 자부)
다른 사람들이나 사회의 인정(동의/반대)에서 벗어나서 그에 연연하지 않게 되는 것.
5단계: 기타 방어기제
3.5.1. 보상[편집]
Compensation
자신의 부족한 점을 감추기 위해 다른 장점을 강조하거나 발전시키는 반응이다.
ex) 친부모에게 효도를 하지 못한 사람이 양로원에서 노인들에게 극진히 봉사하는 경우.
ex) 너무 홀쭉하다는 이유로 고민하던 남자가 외모를 가꾸어서 패션모델이 되는 경우.
1단계 : 병리적인 방어기제 [부정 / 분리 / 기타 병리적인 방어기제]
2단계 : 미성숙한 방어기제 [투사 / 투사적 동일화 / 해리 / 환상 / 기타 미성숙한 방어기제]
3단계 : 신경증적 방어기제 [합리화 / 반동 형성 / 억압 / 퇴행 / 취소 / 전위(치환; 전치) / 주지화 / 기타 신경증적 방어기제]
4단계 : 성숙한 방어기제 [동일시 / 승화 / 기타 성숙하다고 정의하는 방어기제]
5단계 : 기타 방어기제 [보상]
마음의 평정을 깨트리는 사건들이 내적 혹은 외적으로 발생할 때, 발생한 불안감은 초자아를 위협하게 되며, 이때 자아가 불안을 처리하고 마음의 평정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방어기제이다. 하지만 방어기제가 초자아의 이상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아가 초자아와 원초아의 요구를 타협시키는 것이 방어기제이다.
방어기제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 중 하나는 방어기제가 의지가 부족한 나약한 사람들이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겁한 것으로, 인간의 내적 성숙에 방해되는 것이라는 해석이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막대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천천히 상처에서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건강한 방식이다. 만일 스트레스 상황을 방어기제라는 완충제 없이 정면으로 직면한다면 그 피해는 막대할 것이다. 관건은 사회적으로 용납 가능한 방어기제를 선택하는 것이다.
안나 프로이트는 아버지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대략 열 가지 방어기제들을 발견하여 정리했고, 21세기에 통용되는 방어기제의 종류는 비단 열 가지 이상으로 숱하게 늘어난다. 방어기제 이론은 정신분석학이 심리학에서 받아들여진 몇 안되는 예이다.
2. 베일런트의 분류
[종류]
1단계 병리적인 방어기제(pathological defense mechanism).
3.1.1. 부정: Verleugnung / Denial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외부의 실재나 사건을 아예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것. 외부의 자극을 부정하는 것이다. 억압과 함께 가장 원시적이고 질 낮은 메커니즘으로 일컬어지며, 주로 어린이나 정신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ex) 사랑하는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 사람들이 자신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으며 그이는 어딘가에서 분명 살아있으리라고 굳게 믿는 경우. |
3.1.2. 분리[편집]
Splitting
자기와 남들의 이미지, 자기와 남들에 대한 태도를 '전적으로 좋은 것'과 '전적으로 나쁜 것' 이라는 두 개의 상반된 것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흑백논리로도 대표될 수 있다. 유아기 중 분리-개별화기[5]에 쓰는 방어기제이다. 경계선 인격장애의 방어기제이기도 하다. 이런 경우 복합적이고 애매한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자기와 남들의 이미지, 자기와 남들에 대한 태도를 '전적으로 좋은 것'과 '전적으로 나쁜 것' 이라는 두 개의 상반된 것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흑백논리로도 대표될 수 있다. 유아기 중 분리-개별화기[5]에 쓰는 방어기제이다. 경계선 인격장애의 방어기제이기도 하다. 이런 경우 복합적이고 애매한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할 수 있다.
-
환자는 의사가 환자에게 좋은 말을 해줄 때에는 "당신은 나를 이해하는 유일한 사람이에요"라고 하지만 A 환자의 나쁜 행동에 대해 언급할 때 "당신은 의사라는 권력을 이용하는 폭군이에요"라고 말하는 경우.
3.1.3. 기타 병리적인 방어기제[편집]
-
Conversion(전환): 자신의 내면에 있는 갈등을 신체적으로 나타내는 것. Ex) 마비, 경련, 일시적 맹목 등
-
Distortion(왜곡): 현실을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것.
2단계 : 미성숙한 방어기제(immature defense mechanism).
3.2.1. 투사[편집]
Projektion / Projection. 자신의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타인에게 있다고 가정하는 것. 주로 과민, 분노, 공격성, 편견, 질투 등 부정적인 모습들로부터 야기되는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그러한 것들이 타인에게 있다는 식으로 투사한다.
ex)
|
3.2.1.1. 투사적 동일화[6][편집]
Projektive Identifikation / Projective identification
투사적 동일화는 원시적 방어기제중 하나로, 다음의 세 가지를 거친다.
투사적 동일화는 원시적 방어기제중 하나로, 다음의 세 가지를 거친다.
-
환자는 분석가에게 내적 이미지를 투사한다.
-
분석가는 환자가 투사한 것을 비의식적으로 받아들여 동일화하고 환자의 조종을 받아 느끼고 행동하게 된다. 즉, 환자가 분석가에게 투사한 어떤 사람의 역할을 분석가가 하게 된다.
-
투사된 내용들은 분석가에 의해서 수정된 다음에 다시 환자에게 재투입된다. 환자는 자기가 투사한 내적 이미지가 분석가의 인격을 통과하면서 수정된 것을 동일화하여 자신의 내적인 대상을 수정한다.
이는 이론으로 배우기에는 매우 어려운 방어기제이므로 다른 예시를 들어 이해하는 것이 빠르다. 머릿속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그려가면서 이해하는 게 좋을 수 있다.
-
B 환자의 어머니는 매우 시간을 엄수하는 사람이였다. 어머니는 B가 납치를 당할거라는 강박관념에 시달려서 B에게 항상 시간을 엄수하라고 하였다. 그래서 B가 집에 단 1분이라도 늦게 들어오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혼이 났다. B 환자가 C라는 치료자를 만나게 되는데, B는 C에게 C가 예약시간에 정확히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C선생님께서는 몇 초 지각하셨네요. 정말 기분이 나빠요." 라고 말을 하였다.[7] C는 B의 말을 내면화 하고 B의 말을 재해석하여 B의 전이와는 다르게 B가 C의 지각으로 인해 B의 진료비가 손해본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그리고 어느날 B가 지각을 했는데 C가 "지각을 하셨네요, 지각한 시간도 진료시간에 포함됩니다." 라고 말을 했다. 그래서 B는 C의 말로 인해 자신의 내적인 대상을 C를 통해 수정하여 '시간을 엄수하지 않으면 나는 납치를 당할 것이고, 또한 그로 인해 나와 나와 관련된 사람들은 물질적 손해를 입게 된다' 라고 생각한다.
투사적 동일화를 정신문제나 성격문제의 원인 중 하나로 간주해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대상관계이론에선 투사적 동일화를 4가지 종류로 구분하는데, 다음과 같다.
-
의존형 투사적 동일화(의존형 투사적 동일시)
-
힘의 투사적 동일화(힘의 투사적 동일시)
-
상대를 자기 마음대로 조종하려드는 면모가 강하고, 대인관계에서 자신이 주도권을 얻는 것에 집착한다.
-
상대가 자기 뜻대로 따라오는 것이 올바른 대인관계양상이라 생각하며, 자기 뜻을 따르지 않는 대상을 비난하고 무능력한 존재로 치부하며 그들이 무능감을 느끼게 만든다.
-
대인관계 내에서 투사대상자가 자기에게 복종적이 될 수밖에 없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
상담과정에선 오히려 자기가 상담자를 휘두르려드는 경향을 많이 나타낸다.[12]
-
본인이 무능할지라도 본인의 무능함을 지적받으면 분노한다.
-
-
성의 투사적 동일화(성의 투사적 동일시)
-
환심 사기의 투사적 동일화(환심 사기의 투사적 동일시)
-
인간불신이 심한 만큼 자기존중감이나 자존감도 낮아서, 언제나 외부에 자기 가치를 증명받으러 애쓰는 경향이 강하다.
투사적 동일화가 강한 사람은 어떤 식으로든 상대로 하여금 특정 행동이나 특정 태도를 유도하기에, 오래 그들과 어울리는 사람들일수록 그들과의 관계유지에서 피곤함, 짜증 등을 느끼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이 관계파탄으로 자주 이어진다.
3.2.2. 해리[22][편집]
Dissociation. 분열이라고도 불리며,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자신의 성격의 일부가 본인의 지배를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 것으로, '지킬 박사와 하이드', '이브의 세 얼굴' 등의 예시가 있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 참조.
3.2.3. 환상[편집]
Fantasy
상상 속에서 성취를 경험함으로써 좌절된 욕망을 충족하는 것을 말한다. 상상 속에서의 성취는 대개 자아도취적이고 전능적이다.
상상 속에서 성취를 경험함으로써 좌절된 욕망을 충족하는 것을 말한다. 상상 속에서의 성취는 대개 자아도취적이고 전능적이다.
3.2.4. 기타 미성숙한 방어기제[편집]
-
Passive aggression(수동 공격성): 잘 드러나지 않은 방법으로 상대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것. Ex) 본인 스스로에게 도발적인 방법으로 화 풀기.
-
Acting out(행동화): 행동을 통해서 자신의 화를 표현하는 것.
3단계: 신경증적 방어기제(neurotic defense mechanism).
3.3.1. 합리화[편집]
Rationalisierung / Rationalization.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발현되었을 때 초자아가 반발하지 않도록 그럴싸하게 무마하려는 것. 원초아의 파괴적인 충동에 순간적으로 압도당하면 곧바로 초자아의 폭풍태클이 들어오고 이는 극심한 불안과 심적 고통을 초래한다. 여기서 자아는 초자아가 난리치는 것을 막기 위해 원초아의 충동으로 인해 발현된 사태를 어떻게든 해명해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된다. 심하지 않으면 합리화 또한 위기해결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에서 자기합리화라고 하면 이보다는 self-justification의 의미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3.3.2. 반동 형성[편집]
Reaktionsbildung / Reaction Formation.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표출되지 못하도록 정반대 형태의 충동을 형성하는 것. 소위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 는 속담을 연상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정반대의 충동이 표출되면 어딘가 부자연스럽고 어색해 보인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5세 이전의 남자 어린이가 아버지에 대한 살해욕망을 아버지의 가치체계의 내면화라는 결과로 바꿔놓는 이유가 바로 이 반동 형성이며,[23] 이것은 일생 최초의 메커니즘으로서 초자아 생성의 배후에 존재한다. 특히 강박장애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ex)
|
3.3.3. 억압[편집]
Verdrängung / Repression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의 존재 자체를 거부하여 의식 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무의식적으로 막는 것. 쉽게 말하면 욕망을 잊으려 하는 것이다. 이 역시 가장 유명한 메커니즘 중 하나이며, 가장 원시적인 메커니즘 수준에 속하기도 하고, 프로이트가 가장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주제이기도 하다. 무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억압의 존재는 현대 심리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회의적이지만[24], 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사고 억제(thought suppression)의 경우는 실제로 현대 심리학에서 꽤나 흥미로운 연구거리가 되었다.[25]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의 존재 자체를 거부하여 의식 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무의식적으로 막는 것. 쉽게 말하면 욕망을 잊으려 하는 것이다. 이 역시 가장 유명한 메커니즘 중 하나이며, 가장 원시적인 메커니즘 수준에 속하기도 하고, 프로이트가 가장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주제이기도 하다. 무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억압의 존재는 현대 심리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회의적이지만[24], 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사고 억제(thought suppression)의 경우는 실제로 현대 심리학에서 꽤나 흥미로운 연구거리가 되었다.[25]
3.3.4. 퇴행[편집]
Regression
불안 상황에 처했을 때에 이전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로 돌아가려 하는 반응이다.
불안 상황에 처했을 때에 이전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로 돌아가려 하는 반응이다.
ex)어린아이가 새로 태어난 동생에게 관심이 쏟아지자 그 관심을 자신에게 돌리기 위해 아기처럼 행동하는 경우. |
3.3.5. 취소[편집]
Ungeschehenmachen[26] / Undoing
초자아의 비난을 불러일으키는 자신의 행위에 대해 상징적 방법을 동원해 취소하려는 것. 초자아의 비난이 가져오는 죄책감은 곧 원초아와의 심적 균형을 깨뜨려 불안을 가져오게 되고, 자아는 이 죄책감을 해소하기 위한 속죄 이벤트(?)를 기획하게 된다. 취소는 자신의 과거 행위에 대해서만 발동하지만, 상상의 행위에 대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 역시 강박장애(OCD)의 환자에게서 자주 보여지게 된다.
초자아의 비난을 불러일으키는 자신의 행위에 대해 상징적 방법을 동원해 취소하려는 것. 초자아의 비난이 가져오는 죄책감은 곧 원초아와의 심적 균형을 깨뜨려 불안을 가져오게 되고, 자아는 이 죄책감을 해소하기 위한 속죄 이벤트(?)를 기획하게 된다. 취소는 자신의 과거 행위에 대해서만 발동하지만, 상상의 행위에 대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 역시 강박장애(OCD)의 환자에게서 자주 보여지게 된다.
ex) 가까운 친구를 칼로 찌르는 꿈을 꾸고 일어난 뒤 그 친구에게 공연히 선물을 사 주는 경우. |
3.3.6. 전위(치환; 전치)[편집]
3.3.7. 주지화[편집]
3.3.8. 기타 신경증적 방어기제[편집]
-
Upward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s(사회적 상하비교): 자신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대상과 자신을 비교하고 스스로를 그들과 차별화함으로써 자신을 높이려고 하는 것.
4단계: 성숙한 방어기제(mature defense mechanism).
3.4.1. 동일시[편집]
Identifikation / Identification. 중요한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자기 것으로 만들면서 닮는 것을 말한다. 동일시되는 대상도 완벽한 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무조건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
-
히틀러 유겐트(Hitler-Jugend)들이 히틀러의 힘을 동경하게 되어 나치 군대의 잔인성을 닮아가는 경우.
-
3.4.2. 승화[편집]
3.4.3. 기타 성숙하다고 정의하는 방어기제[편집]
-
Suppression(억제)
욕망을 잠시 미뤄 두고 나중에 다시 찾도록 하는 것. 나중에 받아 들일 수 있는 상황이 왔을 때 다시 받아 들여서 해소시킴. -
Patience(인내)
불쾌한 상황에서 바로 반응하지 않고 기간을 두고 시간을 가져 보는 것. 억제와 유사. -
Acceptance(수용)
상황을 직시하고 현실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 -
Tolerance(용인)
인정하기 싫은 감정/상황을 의도적으로 받아 들이고 허가하는 것. -
Anticipation(예측)
미래에 있을 불편함이나 갈등을 미리 내다 보고 현실적으로 준비하는 것. -
Emotional self-sufficiency(감정적 자부)
다른 사람들이나 사회의 인정(동의/반대)에서 벗어나서 그에 연연하지 않게 되는 것.
5단계: 기타 방어기제
3.5.1. 보상[편집]
Compensation
자신의 부족한 점을 감추기 위해 다른 장점을 강조하거나 발전시키는 반응이다.
자신의 부족한 점을 감추기 위해 다른 장점을 강조하거나 발전시키는 반응이다.
ex) 친부모에게 효도를 하지 못한 사람이 양로원에서 노인들에게 극진히 봉사하는 경우. |
ex) 너무 홀쭉하다는 이유로 고민하던 남자가 외모를 가꾸어서 패션모델이 되는 경우. |
728x90
반응형
'일반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 복지 공단 근로자 생활 안정 자금 (0) | 2020.11.18 |
---|---|
캘러웨이 에지 (0) | 2020.11.06 |
계절 약초 (0) | 2020.10.23 |
부자 본능 갖기 . 가난 본능 없애기 (0) | 2020.10.21 |
택배 햇갈리지 않기 (0) | 2020.10.1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