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inarylife

공사비 갈등·사업 지연 해결사로 'CM' 뜬다 본문

신문

공사비 갈등·사업 지연 해결사로 'CM' 뜬다

평범한삶 2023. 12. 12. 09:57
728x90
반응형

공사비 갈등·사업 지연 해결사로 'CM' 뜬다

 
  •  
전문성 갖춘 CM 속속 도입

재건축·재개발 속도 내기 위해
한남4·노량진6구역 등 도입 검토
설계·엔지니어링 업체 수주 경쟁
10억원 넘는 수수료는 부담
최근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이 한창인 조합 사이에서 ‘건설사업관리(CM)’를 도입하는 곳이 늘고 있다. 공사를 진행 중인 정비사업지에서 시공사와 공사비 갈등을 겪거나 인허가 문제로 사업이 지체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CM은 건축과 인허가에 전문성이 부족한 조합을 대신해 설계·엔지니어링 업체가 정비사업 전반에 대한 관리를 맡는 개발 방식이다. CM 도입으로 추가 수수료가 드는 건 부담이다. 하지만 전문성을 활용해 공사비 분쟁 등을 사전에 방지하고 사업 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관심을 끈다. 도입을 검토하는 조합이 늘면서 CM업계의 수주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한남4구역, CM 도입 검토

 
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한남뉴타운 4구역 재개발 조합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CM 업체 선정을 위한 심사를 진행했다. 착공 전까지 남은 인허가 업무와 시공사 선정 절차를 전문성을 갖춘 CM 업체에 맡긴다는 계획이다.
조합은 지난해부터 CM 업체를 활용한 재개발 사업 추진을 검토해왔다. CM 방식으로 정비사업을 하는 곳이 많지 않은 데다 10여억원의 수수료가 들기 때문에 일부 조합원은 반대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한남뉴타운 구역에서 시공사와의 갈등과 인허가 지연 등의 피해를 겪으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인허가 문제로 사업이 지연되거나 시공사와의 계약을 두고 갈등이 벌어지자 사전에 CM을 도입하자는 여론이 높아졌다. 최근 CM 도입을 묻는 안건에 90%를 웃도는 대의원이 찬성했다.

 
한남뉴타운에서 비교적 사업성이 좋은 4구역이 업체 선정에 나서면서 주요 대형 CM 업체가 입찰 경쟁에 참여했다. 업계에 따르면 한미글로벌을 비롯해 무영과 혜안, 건원, 삼우, DA 등이 수주 경쟁에 나섰다. 조합은 9일 대의원회에서 CM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조합 내부에선 CM 방식을 선택하며 사업 기간이 단축되고 향후 공사비 분쟁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합 관계자는 “사업을 3개월 단축할 경우 대출 이자 등 100억원 상당의 금융 비용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며 “시공 계약에서도 CM의 전문성을 활용하면 향후 발생할 공사비 분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M 전문성 활용하면 사업 단축

CM은 사업타당성 조사부터 인허가, 시공사 선정, 시공 관리 등 모든 과정을 관리한다. 도입 초기엔 서울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 주경기장이나 국립현대미술관 등 대형 건설 프로젝트에 주로 적용됐다.
 
최근엔 CM 방식으로 정비사업을 시행하는 조합이 늘고 있다. 조합이 직접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인허가나 내부 갈등에 막혀 사업 기간만 늘어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CM이 설계 검토나 공사비 절감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조합 사이에서 확산하고 있다”며 “갈등이 심한 재개발 사업지에서 CM 방식이 효과를 거둔 사례가 있고, 서울시도 최근 지침을 통해 (CM 도입을) 권고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착공을 앞둔 동작구 노량진6재정비촉진구역은 다음달 예정된 총회에 CM 용역 선정 여부를 안건으로 상정한다. 전문성을 갖춘 CM 업체를 선정해 공사비 협상과 인허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수수료 탓에 소규모 정비사업지에선 CM 방식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한 대형 CM 업체 관계자는 “소규모 정비사업지에선 15억원 안팎의 수수료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유오상/한명현 기자 osyoo@hankyung.com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