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inarylife
예전 직장 다닐때 사먹었던 맘김밥 꼬마 김밥인데 속이 알찼습니다. 위치 종로5가에서 대학로 방향. 지금도 있을지 모르겠네요. 161011
자비로 먹었습니다. 안주 가격이 많이 착합니다. 호프는 하지만 4천원 맥주가 좀 덜 시원하네요. 새우튀김 입니다. 납작 만두도 먹었습니다.
간만에 지인 이랑 종로3가 삼해집 다녀왔습니다. 자비로 먹었습니다. 간판은 여전 하네요. 둘이 먹기에 소자도 충분할듯 하여 .. 소자 주문해 봅니다. 역시 둘이 먹기에 충분 합니다. 감자탕 국물 리필도 무한.. 종업원 아주머니들도 신속하시고 매우 친절하십니다.
상봉동 동부시장내에서 꽤알려진 식당 입니다. 다사랑. 생선찌게 닭도리탕 구이등이 맛있습니다. 닭도리탕 소자 15000원 입니다. 가성비 좋습니다. 자비로 사먹었습니다.
이문 3 재정비 촉진구역 이주가 시작 됐네요. 위 사진 출처: https://blog.naver.com/augment123/221337394199 출처: https://blog.naver.com/kimtongchal/221392036584
지구단위계획 출처: 다음카페 디벨로퍼 아카데미 http://cafe.daum.net/realtyacademy/ 지구단위계획 1. 의의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지역 가운데 일부지역의 토지이용을 보다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의 개선 및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는 등, 당해 지역을 체계적·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도시 관리계획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을 말한다. 2. 지구단위계획 수립 목적 지구단위계획은 종전의 『건축법』에 의한 도시설계와 도시계획법에 의한 상세계획을 통합하면서 생긴 제도로서 도시 내 일정구역을 대상으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 친화적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또는 도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세부적인 계획으로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등 상위계획과 관련계..
용도지역분류 출처: 다음카페 디벨로퍼 아카데미 http://cafe.daum.net/realtyacademy 용도지역 토지분류 현행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용도지역을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등 4개로 분류 하고 있다. 1)용도지역의 의의 용도지역이란?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과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공공복리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서로 중복되지 않게 도시 군 관리 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함. 2)용도지역 구분 국토는 토지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 토지 이용 방향, 지역 간 균형 발전 등을 고려해 용도지역을 구분한다. 1.도시지역: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해 체계적 개발..
용도지구와 용도구역 차이 출처: 다음카페 디벨로퍼 아카데미 http://cafe.daum.net/realtyacademy 용도지구 용도구역 1.용도지구 용도지구는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에 대한 용도지역의 제한을 강화하거나 완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용도지역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경관, 안전 등을 도모하기 위해 도시, 군 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함.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은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을 도시 군 관리계획으로 결정함. 1.경관지구: 경관의 보전, 관리 및 형성을 위해 필요한 지구 2.고도지구: 쾌적한 환경 조성 및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건축물 높이의 최고한도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구 3.방화지구: 화재 ..
토지의 분류 출처: 다음카페 디벨로퍼 아카데미 http://cafe.daum.net/realtyacademy/ 토지의 분류 대지와 택지, 부지 부동산 활동상에 따른 토지의 분류 1.대지와 택지, 부지 대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상 지목이 대인 토지 또는 건축법 상 건축이 가능한 토지 택지: 감정평가상 용어로 주택, 점포, 공장, 기타 건물부지로 이용되거나 장차 이용되는 것이 외형적으로는 물론이고 사회적, 경제적, 행정적 측면에서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토지. 부지: 일정한 용도로 제공되고 있는 바닥 토지를 말함. 하천이나 도로 등 바닥 토지에 사용되는 포괄적인 용어로 건축 가능한 토지와 건축 불가능한 토지 모두 포함. 비교: - 공업용지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지목..
국토법 제 63조의 개발행위 허가 제한 지역 63조(개발행위허가의 제한) ① 국토교통부장관, 시ㆍ도지사, 시장 또는 군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지역으로서 도시ㆍ군관리계획상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중앙도시계획위원회나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한 차례만 3년 이내의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제3호부터 제5호까지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나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하고 한 차례만 2년 이내의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을 연장할 수 있다. 1. 녹지지역이나 계획관리지역으로서 수목이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거나 조수류 등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또는 우량 농지 등으로 보전할 필..